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대상포진 어느과를 가야 할까요?(피부과VS통증의학과)

by 후기를 부탁해 2024. 2. 12.
반응형

대상포진이 몸에 발생했을 때 피부과를 가야 하나요 내과를 가야 하나요 통증의학과를 가야 할까요?!

대상포진 어디를 가야할까요?

대상포진=Group the Vesicla

조그만 수포들이 그룹 지어서 몸 반쪽에 띠(선) 모양으로 생기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대상포진 특징

1. 안쪽으로 바늘로 찌르는 듯한 통증이 느껴집니다.
2. 몸의 라인을 따라 띠를 그리는 모양으로 통증이 있습니다.
3. 얼굴에 생길 경우에는 이마에서 광대까지 수포가 발생합니다.
4. 머리에 대상포진이 있을 경우 편두통과 헷갈릴 수 있습니다.

대상포진특징대상포진특징대상포진특징

대상포진 초기 대응법

예전 같은 경우 좋은 효과가 좋은 약들이 없었기 때문에 입원을 권장했지만 현제는 하루에 1번씩 일주일간 복용할 수 있는 약이 있기 때문에 통원치료가 가능합니다. 대상포진은 무조건 잘 쉬고 조기 치료가 중요합니다. 통증시작후 72시간전에 약을 먹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외용제 같은 경우는 효과가 크게 없지만 수포가 전염가능성(접촉성)이 있기때문에 수포관리를 위해 도움이 될 수 있으니, 외용제도 함께 발라주는 것이 좋습니다. 

초기증상초기증상초기증상

대상포진 백신

대상포진백신


MSD(제약회사제품)-
1회 피하주사(효과 약 55%)

새로 나온 백신-
2회 근육주사(효과 약 97%)

결론적으로 대상포진이 발생하면 부위나 통증에 따라 병원을 달리 가야 하겠습니다. 피부과던 통증의학과던 진료와 치료가 가능하며 초기에 발견되어 통증이 덜하다면 피부과에 가서 진료를 받는 것도 방법이며, 기간이 지나서 통증이 심하게 온다면 통증의학과를 가서 진료하면 좋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 ↓ ↓ ↓ ↓ ↓ ↓ ↓

대상포진 초기증상 및 전염가능성(부위별)

반응형